본문바로가기

갈산동성당갈산동성당


컨텐츠

청년부게시판

  1. 공동체
  2. 청년부게시판
게시글보기
제목 청년 교리 유캣 257, 258, 259항
작성자 권정대 작성일 2021-07-30 조회수 372
첨부파일1 첨부파일1유캣 257, 258, 259항.hwp
257 남성만 성품성사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은 결국 여성을 경시하는 것이 아닌가요?
남성만 성품성사를 받을 수 있다는 규정이 여성을 폄하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남성과 여성은 하느님 앞에서 동등한 존엄성을 지니지만, 서로 다른 임무와 특별한 은사를 맡습니다. 교회는 예수님이 최후의 만찬을 통해 사제직을 제정하실 때 오로지 남성들만 부르셨던 사실에서 그 근거를 찾습니다.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1994년에 “교회는 여성에게 사제 서품을 할 어떠한 권한도 없으며, 교회의 모든 신자들은 이러한 판단을 따라야 한다고 선언했습니다.”

여성이 차별당했던 고대에 예수님만큼 담대하게 여성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여성과 우정을 나누며 여성을 보호했던 분은 없습니다. 여성들은 예수님의 뒤를 따랐고, 예수님은 그들의 믿음을 높이 평가하셨습니다. 무엇보다 부활의 첫 증인은 여성입니다. 그런 까닭에 마리아 막달레나 성녀는 ‘사도 중의 사도’라고 불렸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제직은 늘 남성들에게만 전수되어 왔습니다.
교회는 남성 사제의 모습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발견했던 것이 분명합니다. 사제직은 남성이자 아버지로서 특정한 한쪽 성에 국한된 역할을 필요로 하는 특별한 직무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사제직이 남성을 여성보다 우월하게 여기는 제도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성모님이 보여 주시듯이 여성들은 교회 안에서 남성들 못지않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것들은 엄연히 여성만의 역할입니다. 예를 들어 하와는 “살아 있는 모든 것의 어머니”(창세 3,20)가 되었습니다. ‘살아 있는 모든 것의 어머니’로서 여성들은 특별한 재능과 능력들을 지녔다는 것입니다.
가르침과 복음 선포, 자선, 영성 및 사목 활동에 여성들의 고유한 방식이 없었다면 교회는 ‘절반이 마비’되었을 것입니다. 교회 안에서 남성들이 사제직을 권력의 수단으로 이용하면서, 고유하고 특별한 은사들을 지닌 여성들의 활동을 허락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예수님의 사랑과 그분의 성령을 거스르는 것입니다.

257 Is it demeaning to women that only men may receive the sacrament of Holy Orders?
The rule that only men may receive Holy Orders in no way demeans women. In God’s sight, man and woman have the same dignity, but they have different duties and →CHARISMS. The Church sees herself as bound by the fact that Jesus chose men exclusively to be present at the Last Supper for the institution of the priesthood. Pope John Paul II declared in 1994 “that the Church has no authority whatsoever to confer priestly ordination on women and that this judgment is to be definitively held by all the Church’s faithful”.

Like no one else in antiquity, Jesus provocatively affirmed the value of women, bestowed his friendship on them, and protected them. Women were among his followers, and Jesus highly valued their faith. Moreover, the first witness to the Resurrection was a woman. That is why Mary Magdalene is called “the apostle of the →APOSTLES”. Nevertheless, the ordained priesthood (and consequently pastoral ministry) has always been conferred on men.
In male priests the Christian community was supposed to see a representation of Jesus Christ. Being a priest is a special service that also makes demands on a man in his gender-specific role as male and father. It is, however, not some form of masculine superiority over women. As we see in Mary, women play a role in the Church that is no less central than the masculine role, but it is feminine. Eve became the mother of all the living (Gen 3:20). As “mothers of all the living”, women have special gifts and abilities.
Without their sort of teaching, preaching, charity, →SPIRITUALITY, and guidance, the Church would be “paralyzed on one side”. Whenever men in the Church use their priestly ministry as an instrument of power or do not allow opportunities to women, they offend against charity and the Holy Spirit of Jesus.


258 교회가 사제들과 주교들에게 독신 생활을 요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예수님은 독신 생활을 하셨고 그것을 통해 하느님 아버지에 대한 당신의 온전한 사랑을 표현하고자 하셨습니다. 예수님은 이러한 생활 방식을 본받아 “하늘나라 때문에”(마태 19,12) 결혼하지 않고 정결을 지키며 사는 것은 예수님 시대 이래로 사랑과, 주님에 대해 온전히 헌신하고 봉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는 표징이 되어 왔습니다. 로마 가톨릭교회는 이러한 생활 방식을 주교들과 사제들에게 요구하며, 동방 가톨릭 교회는 이를 주교들에게만 요구합니다. 1579-1580, 1599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독신제가 “사랑 없이 머무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오히려 하느님에 대한 열정에 사로잡혀 있음을 의미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독신 생활을 하는 사제는 하느님과 예수님이 지니신 부성(父性)을 드러냄으로써 풍부한 결실을 맺어야 합니다. 계속해서 교황은 이렇게 말합니다. “그리스도는, 성숙하고 남자다우며 정신적인 아버지 역할을 참되게 수행할 수 있는 사제들을 필요로 하신다.”

258 Why does the Church require priests and bishops to live a celibate life?
Jesus lived as a celibate and in this way intended to show his undivided love for God the Father. To follow Jesus’ way of life and to live in unmarried chastity “for the sake of the kingdom of heaven” (Mt 19:12) has been since Jesus’ time a sign of love, of undivided devotion to the Lord, and of a complete willingness to serve. The Roman Catholic Church requires this way of life of its bishops and priests, while the Eastern Catholic Churches demand it only of their bishops. 1579-1580, 1599

Celibacy, says Pope Benedict, cannot mean “remaining empty in love, but rather must mean allowing oneself to be overcome by a passion for God”. A →PRIEST who lives as a celibate should be fruitful inasmuch as he represents the fatherly character of God and Jesus. The Pope goes on to say, “Christ needs priests who are mature and manly, capable of exercising a true spiritual fatherhood.”


259 모든 신자들이 지니고 있는 보편 사제직은 서품 사제직과 어떻게 다르나요?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는 “우리가 한 나라를 이루어 당신의 아버지 하느님을 섬기는 사제가 되게 하셨습니다.”(묵시 1,6) 보편 사제직을 통해 모든 그리스도교 신자는 하느님의 이름으로 이 세상에서 활동하고, 이 세상에 축복과 은총을 가져오도록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한편 그리스도는 최후의 만찬 자리에서 사도들을 파견하시면서 신자들에게 봉사할 거룩한 권한을 몇몇 사람에게 주셨습니다. 이처럼 축성된 사제들은 그분 백성의 목자이며 그분의 몸인 교회의 머리로서 그리스도를 대리합니다. 1546-1553, 1592

사제라는 동일한 단어는 두 가지의 유사한 개념들을 가리키기에 종종 잘못 이해되기도 합니다. “신자들의 보편 사제직과 직무 또는 교계 사제직은, 정도만이 아니라 본질에서 다르기는 하지만, 서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 그 하나하나가 각기 특수한 방법으로 그리스도의 유일한 사제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인류의 빛>)
세례받은 우리 모두는 그리스도 안에서 살고 그분의 존재와 행위에 참여하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사제’라는 점을 기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이 세상에 영원한 축복을 가져오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하느님이 당신 교회에 주신 선물이자 공동체 안에서 주님을 대리하는 축성된 사제들을 새롭게 발견해야 합니다.

259 How is the universal priesthood of all the faithful different from the ordained priesthood?
Through Baptism Christ has made us into a kingdom of “priests to his God and Father” (Rev 1:6). Through the universal priesthood, every Christian is called to work in the world in God’s name and to bring →BLESSINGS and grace to it. In the Upper Room during the Last Supper and when he commissioned the →APOSTLES, however, Christ equipped some with a sacred authority to serve the faithful these ordained priests represent Christ as pastors (shepherds) of his people and as head of his Body, the Church. 1546-1553, 1592

Using the same word, → “PRIEST”, for two related things that nevertheless “differ essentially and not only in degree” (Second Vatican Council, LG 10, 2) often leads to misunderstandings.
On the one hand, we should observe with joy that all the baptized are “priests” because we live in Christ and share in everything he is and does. Why, then, do we not call down a permanent blessing on this world? On the other hand, we must rediscover God’s gift to his Church, the ordained priests, who represent the Lord himself among us.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청년 교리 유캣 260, 261, 262항
이전글
청년 교리 유캣 254, 255, 256항
수정 삭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