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갈산동성당갈산동성당


컨텐츠

청년부게시판

  1. 공동체
  2. 청년부게시판
게시글보기
제목 청년 교리 유캣 269, 270, 271항
작성자 권정대 작성일 2021-08-04 조회수 311
첨부파일1 첨부파일1유캣 269, 270, 271항.hwp
269 부부가 서로 다툼으로 갈라진 상태라면 별거할 수 있나요?
교회는 약속을 준수하며 일생 동안 신의를 지키는 인간의 능력을 높이 존중할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약속을 지키라고 요구합니다. 어느 혼인 관계든 위기로 인해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부부는 함께 대화하고 함께 기도하며 때로는 상담을 받음으로써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성사혼에는 그리스도가 늘 함께하심을 기억함으로써 끊임없이 희망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혼 관계를 더는 감당할 수 없게 되었거나, 영적·육체적 폭력에 시달리는 사람은 별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탁상 이혼(별거, 부분 이혼)’이라고 부르는데, 교회에도 이 사실을 통보해야 합니다. 이처럼 생활 공동체가 깨졌더라도 혼인 관계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1629, 1649

물론 혼인 계약을 맺을 당시 신랑과 신부 중 한 사람이나 두 사람 모두가 혼인을 성립할 능력이나 온전한 혼인 의사를 지니지 못했던 사실 때문에 혼인의 위기가 초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혼인은 교회법적으로 무효가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교구 법원에 혼인 무효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269 May a husband and wife who are always fighting get a divorce?
The Church has great respect for the ability of a person to keep a promise and to bind himself in lifelong fidelity. She takes people at their word. Every marriage can be endangered by crises. Talking things over together, prayer (together), and often therapeutic counseling as well can open up ways out of the crisis. Above all, remembering that in a sacramental marriage there is always a third party to the bond?Christ?can kindle hope again and again. Someone for whom marriage has become unbearable, however, or who may even be exposed to spiritual or physical violence, may divorce. This is called a “separation from bed and board”, about which the Church must be notified. In these cases, even though the common life is broken off, the marriage remains valid. 1629, 1649

Indeed, there are also cases in which the crisis in a marriage ultimately goes back to the fact that one spouse or both was not eligible at the time of the wedding or did not fully consent to the marriage. Then the marriage is invalid in the canonical (legal) sense. In such cases an annulment procedure can be introduced at the diocesan tribunal.


270 교회는 이혼 후 재혼한 사람들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나요?
교회는 예수님의 모범을 따라 그들을 사랑으로 받아들입니다. 하지만 교회에서 혼인한 후 이혼하고, 배우자가 살아 있는데도 다른 사람과 새로운 관계를 맺는 사람은 혼인의 불가해소성을 존중하라는 예수님의 분명한 요구를 저버리는 것입니다. 교회는 예수님의 이러한 요구를 폐지할 수 없습니다. 신의를 지키지 못하는 것은 성체성사에 반하는 일입니다. 교회가 성체성사를 통해 기념하는 것은 바로 돌이킬 수 없는 하느님의 사랑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모순된 상황에 있는 사람에게는 영성체가 허락되지 않습니다. 1665, 2384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구체적인 사례들을 모두 똑같이 다루지 않으면서 “힘든 상황”을 거론했고, “교회의 사목자들은 진리에 대한 사랑으로 여러 상황들을 주의 깊게 식별하여 관련된 신자들을 영적으로 올바르게 이끌어 줄 수 있어야 합니다.”(베네딕토 16세 교황, 세계주교대의원회 후속 교황 권고 <사랑의 성사>)라고 요청했습니다.

270 What is the Church’s stance on people who are divorced and remarried?
She accepts them lovingly, following Jesus’ example. Anyone who divorces after being married in the Church and then during the lifetime of the spouse enters into a new obviously contradicts Jesus’ clear demand for the indissolubility of marriage. The Church cannot abolish this demand. This retraction of fidelity is contrary to the →EUCHARIST, in which it is precisely the irrevocable character of God’s love that the Church celebrates. That is why someone who lives in such a contradictory situation is not admitted to Holy →COMMUNION. 1665, 2384

Far from treating all specific cases alike, Pope Benedict XVI speaks about “painful situations” and calls on pastors “to discern different situations carefully, in order to be able to offer appropriate spiritual guidance to the faithful involved” (Apostolic Exhortation Sacramentum caritatis, 29).


271 가정을 ‘작은 교회’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하느님 사랑의 재현이라 할 수 있는 인간 공동체 가운데 큰 것을 교회, 작은 것을 가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혼인 관계는 다른 이들에게 그리고 하느님이 선사하신 자녀들에게 열린 마음을 갖고, 서로를 받아들이며, 손님을 환대하고, 다른 이들을 위해 살아감으로써 완성됩니다. 1655-1657

초대 그리스도교에서 그리스도인들이 지닌 ‘새로운 방식’ 가운데 ‘가정 교회’만큼 사람들을 매혹 시켰던 것은 없습니다. 종종 사람들을 “온 집안과 함께 주님을 믿게 되었으며 …… 다른 많은 사람도 믿고 세례를 받았”(사도 18,8)습니다. 믿음이 없는 세상 속에서 살아 있는 믿음의 섬들과 기도하고 가진 것을 나누며 진심으로 손님을 환대하는 장소들이 생겨났습니다. 고대의 대도시였던 로마와 코린토, 안티오키아에는 가정 교회들이 금세 널리 퍼졌습니다. 오늘날에도 그리스도가 거처하시는 가정들은 우리 사회를 새롭게 하는 누룩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271 What does it mean to say that the family is a “Church in miniature”?
What the Church is on a large scale, the family is on a small scale: an image of God’s love in human fellowship. Indeed, every marriage is perfected in openness to others, to the children that God sends, in mutual acceptance, in hospitality and being for others. 1655-1657

Nothing in the early Church fascinated people more about the “New Way” of the Christians than their “domestic churches”. Often someone “believed in the Lord, together with all his household and many . . . believed and were baptized” (Acts 18:8). In an unbelieving world, islands of living faith were formed, places of prayer, mutual sharing, and cordial hospitality. →ROME, Corinth, Antioch, the great cities of antiquity, were soon permeated with domestic churches that were like points of light. Even today families in which Christ is at home are the leaven that renews our society.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청년 교리 유캣 272, 273, 274항
이전글
청년 교리 유캣 266, 267, 268항
수정 삭제 목록